본문 바로가기
미술 이야기

모더니즘의 정의 및 특징

by 리아(LIA) 2020. 5. 28.

모더니즘(Modernism)

1920년대에 일어난 근대적인 감각을 나타내는 예술상의 여러 경향으로,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에 이르러 서구 사회의 광범위한 변화에서 비롯된

철학운동과 예술운동으로 볼 수 있다. 

거시적인 의미로는 교회의 권위 또는 봉건성을 비판하며 과학이나 합리성을 중시하고 근대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기계문명과

도회적 감각을 중시하여 현대풍을 추구하는 것을 뜻한다.

문학의 경우 제임스 조이스 및 T.S 엘리엇 등의 실험적인 작품을 가리켜 모더니즘 문학이라고 한다.

 

모더니즘의 주목할만한 특징은 예술적, 사회적 전통에 대한 자의식이다. 근대주의 혁신에는 추상미술, 의식의 흐름 소설, 몽타주 영화등이 포함되었다.

모더니즘은 현실주의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모더니즘을 형성한 요인 중에는 현대 산업주의의 발전, 도시의 빠른 성장 및 1차 세계대전의 공포등이 있었다. Graff라는 비평가는 "모더니즘의 기본 동기는 19세기 부르주아 사회 질서와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라고 주장했다.

 

1800년대 중반 이후의 문화가 가진 특징은 지속적인 변화의 추구이며, 산업사회 이전의 안정적인 문화와는 차이가 있다. 현대사회의 역동성을 뜻하는 '변화'는 이시기 내내 등장한 불변항이었다. 19세기말, 20세기에 걸쳐 여러분야에서 나타나는 공통의 흐름은 각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재정의 하려는 움직임이다. 19세기에 들어와 미술가, 음악가,작가들은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부정했다.

 

모더니즘 예술이 혁명적이면서도 과거의 전통과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 가를 보여주는 예가 작곡가 아놀드 쇤베르크의 음악이다. 쇤베르크는 적어도 1세기 반동안 음악을 만들도록 지도해 온 음악의 작품을 조직하는 계층적 시스템인 전통적 톤 하모니를 거부하였다. 전통적인 화성구조를 파괴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는데 그는 선율과 8도음을 무시하고 12음 기법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이것의 기원은 쇤베르크가 아닌 프란츠리스트, 리차드 바그너, 구스타프 말러등과 같은 초기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제자 중 하나인 존케이지는 1950년대에 '우연성 음악'을 실험했으며, 심지어 4분 22초간의 침묵을 곡이라고 창작하기도 했다.

문학에서는 '사실주의'나 전통적인 서사구조가 무너져 가던 시기에 거트루드 스타인이 언어의 탈 자연화를 사용해 문장을 재정의하였다.

무용에서도 전통적인 춤을 과잉으로 여기는 경향이 나타났고 신체의 움직임이라는 순전히 기능적인 측면을 선호하면서 그 이외의 요소를 제거하고자 했다. 

연극에서는 무대를 그럴듯하게 꾸미거나 관객에게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려는 전통적인 가치추구가 사라져 갔고 관객에게 그들이 보고있는 것이 '연극'임을 주지시키는 노력이 있었다. 가장 새로운 예술 형식인 영화는 1895년 오귀스트 뤼미에르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주류영화와 실험영화로 분리되었다. 1920년대의 초기 아방가르드 영화는 문학적인 사고나 관습적인 이야기를 거부했으며, 대신 영화라는 매체 자체의 가능성에 몰두했다.

 

모든 예술이 모더니즘에 이르러 변화했지만, 그러한 변화를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준것은 시각예술이었다. 미술에서는 수세기에 걸친 기법과 형식등을 포기하기에 이르렀고 그 결과 대중의 입장에서는 피사체와 전혀 닮지 않은 미술이 모더니즘으로 등장했다. 모더니즘 이전에 작가들은 작품이 대상과 얼마나 유사한지 그리고 세부 묘사가 얼마나 치밀한지 등으로 평가받았다. 그리스 화가가 담벼락에 포도를 그렸는데 실제 포도와 매우 흡사하여 새가 달려들어 쪼았다는 일화도 있는데 모더니즘 이전의 작품관에 대해서 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런 면에 있어서 입체파 피카소의 등장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20세기 부터 10년동안 파블로 피카소(Pablo Picasso)와 앙리 마티스 같은 젊은 화가들이 전통적인 관점을 그림의 구조화 수단으로 거부함으로써 충격을 주었다. 파블로 피카소는 큐비즘의 대가로도 유명하다. 큐비즘이란'입방체' 또는 '정육면체'라는 뜻의 큐브(Cube)에서 기원된 단어로 입체주의(Cubism)라고 한다. 피카소는 입체파 화가로 분류되며, "아비뇽의 처녀들"이라는 작품이 대표적이다.

 

모더니즘 기점 이전 시기의 예술은 대상을 '사실적으로' 재현 하는 것이었다면 모더니즘 시기의 특징은 종래의 예술기능을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

마르셀 뒤샹의 "샘"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기성품 소변기를 배치함으로서 예술에 대한 의미를 한번 더 고찰하게 하였다.

 

1920년대 부터는 난해한 현대미술을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1929년 뉴욕에 설립된 현대미술관(MOMA)의 초대 관장인 앨프리드 바(Alfred Barr)는 모더니즘에 관한 도표를 발표하고 이는, 1936년 "입체파와 추상미술"전의 도록 표지를 장식했다.

이 도표는 당시의 예술의 성격이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 쉽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논리적인것처럼 보이는 이 도표는 '진보적인' 기법을 채택함으로써 급진주의로 평가받은 미술과 그렇지 않은 '보수적인'미술 사이의 구분을 야기했다.   

 

 

※포스트 모더니즘

1960년대 후반에 정점에 도달했던 정치적 격변, 베트남전 반대시위, 시민운동과 여성운동에서 동력을 얻어 예술의 새로운 조류로 떠올랐다. 중앙 집중적이고 권위적인 정치에 대한 신뢰의 상실은 예술계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1960년대의 격변이 도래하기 전에 예술계는 거의 100여년동안 진보를 향한 대열에 합류하고 있었으며 근본적으로는 낙관적인 입장이었다.

모더니즘은 결국 현대라는 시기에 등장했던 예술에 대한 일련의 생각이자 신념이며 현대사회의 삶의 경험, 문화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생애  (0) 2020.05.29
로코코 예술(Rococo art)  (0) 2020.05.29
바로크 예술(Baroque art)  (0) 2020.05.29
네덜란드 화가 램브란트의 생애  (0) 2020.05.28
예술의 기원  (0) 2020.05.28